덤프버전 : r (♥ 0)


上}}}윗 상
부수
나머지 획수
, 2획
총 획수
3획
중학교
-
}}}
일본어 음독
ジョウ, (ショウ)
일본어 훈독
うえ, (うわ), かみ, あ-げる, あ-がる,
のぼ-る, のぼ-せる, のぼ-す,
たてまつ-る, ほとり
-
}}}
표준 중국어
shǎng, shàng
*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
*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,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}}}

上의 획순
1. 개요
2. 상세
3. 용례



1. 개요[편집]


위 상(上). 윗, , , 처음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.


2. 상세[편집]


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
한국어
중국어표준어shàng
광동어soeng6 / soeng5
객가어song
민북어ciōng
민동어siông
민남어siōng[文] / siāng, chiūⁿ[白]
오어zaan (T3)
일본어음독ジョウ, (ショウ)
훈독うえ, (うわ), かみ,
あ-げる, あ-がる, のぼ-る,
のぼ-せる, のぼ-す, かり,
たてまつ-る, ほとり
베트남어thượng

유니코드에선 U+4E0A에 배정되어 있다. 창힐수입법은 YM(卜一).

어떤 것보다 위쪽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지사자이다. (한 일) 위에 짧은 一을 쓰거나ㆍ을 찍거나 丨만 써서 '丄' 형태로 나타내기도 하다가 지금의 上 모양으로 바뀌었다.

平上去入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'上'은 상성으로 읽으나(정확히는 '올라가다'라는 뜻에 한정. '위', '~위에', '~상 에서', '지난' 이라는 뜻에서는 거성으로 읽는다.) 濁上變去[1]로 인해 거성으로 바뀌었다. 이 때문에 '상성'이라는 뜻에 한해서만 '상성'으로 읽는다.

여담으로 이체자 중 하나인 丄가 이것을 닮았다.

3. 용례[편집]



3.1. 단어[편집]




3.2. 고사성어/숙어[편집]


  • 금상첨화 (錦上添花)
  • 막상막하 (莫上莫下)
  • 사상누각 (沙上樓閣)
  • 설상가상 (雪上加霜)
  • 양상군자 (梁上君子)
  • 탁상공론 (卓上空論)
  • 하석상대 (下石上臺)


3.3. 인명[편집]




3.4. 지명[편집]




3.5. 지하철역[편집]




3.6. 창작물[편집]




3.7. 기타[편집]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07 05:34:3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[文] 문독[白] 백독[1] 성모가 전탁음(유성 파열음)인 상성의 성조가 거성으로 바뀜

관련 문서